Episodes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5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30강
❧ 오성(Verstand) 주어진 객관에서 오는 감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하고 잠정적 참만을 가지고 있다.인간의 인식이 미칠 수 있는 범위를 알려주므로 ‘규제적’(regulativ)
❧ 이성(Vernunft)오성을 통해서 가지게 된 판단들, 즉 사유물에 대해서 생각인간의 인식이 미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서 체계적 통일을 시도하므로 ‘구성적’(konstitutiv)
❧ 이성의 사변적 사용인간의 감각으로써 알 수 없는 초월적 존재에 대해서 초월론적 입장에 서서, 즉 신의 입장에 서서 사유하려는 것오성이 설정한 인식의 끝(한계)을 넘을 수 있는 선(경계)이라 여겨 넘어서려는 것이성을 사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간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변증론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4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9강
❧ 칸트 철학의 근본적 원리계몽철학: 17세기 과학혁명에 바탕을 둔 합리적 사유. 반종교주의와 종래의 형이상학 부정⟪순수 이성 비판⟫은 과학적 사유의 방법을 밝히고 형이상학적 사유의 가능성을 제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비판(Kritik)의 의미
❧ 도덕과 세계 전체에 대한 앎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최종 근거는 과학적 인식에 근거할 수 없으므로 ‘신, 영혼불멸, 자유의지’ 등을 “요청”(Postulat) 해야만 한다. -- ⟪실천 이성 비판⟫자연의 영역에 속하는 인간의 육체와 자유의 영역에 속하는 인간의 정신을 통일적으로 이해하고 세계 전체를 알고자 할 때 요구되는 원리를 탐구해야 한다. -- ⟪판단력 비판⟫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3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8강
❧ 인간의 규정정신과 신체의 합성체로서의 인간, 즉 초월론적 정신과 제약받는 육체로 이루어진 존재인간의 정신은 신의 모상에 이르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신에 대한 앎을 거침으로써 대상세계의 사물들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확실함을 가지게 된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2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7강
❧ 유한자와 무한자의 관계파스칼의 Pensées가 제시하는 방법: ‘신학자의 신’ 방식. 자신이 철저하게 유한자임을 자각하고 바로 그 순간 신에 대한 앎을 포기하고 철저하게 신에 의존함으로써 “안심(확신)의 빛”(lux securitatis)을 확보한다.데카르트가 제시하는 방법: ‘철학자의 신’ 방식. 자신이 철저하게 유한자임을 자각하고 바로 그 순간 신에 대한 앎이 생겨남을 확인한다. 또는 신의 입장에 올라선 초월론적 자아를 확보함으로써 신을 알 수 있다고 자신한다.데카르트에 있어서 자립적 자기의식은 완전한 의미의 자립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1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6강
❧ 자립적 자기의식의 성립 과정감각-지각에 의존하는 나를 의심하는 나의 사유를 밀고 나간 결과 “난국의 암흑”(제1성찰의 결과)에 처하게 되었다. —> “확고한 것은 아무엇도 없다”(nihil esse certi)는 자각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확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최소한의 것”을 찾아야 한다. —> “나는 있다, 나는 현존한다”(ego sum, ego existo)의 확신, 이는 사유하는 존재(res cogitans)이며, “내가 사유하는 동안 있다.”(nempe quandiu cogito)는 것.제2성찰에서 도달한 것: “정신의 통찰”(mentis inspectio)
❧ 데카르트에서 기본적으로 전제해야 하는 것‘나’는 계속해서 분열한다는 것초월자의 입장에 이론적으로 올라서서 나를 내려다보는 것, 즉 초월론적 사유를 추구한다.인간에게 가장 확실한 것은 육체와 분리된 정신임을 확신하려는 것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20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4강, 제25강
❦ 사유방식의 전복과 새로운 세계관의 정립‘나’에서 시작하여 ‘신의 현존’을 확신하고 ‘대상 세계’를 탐구한다. 1,2성찰: 자립적 자기; 3성찰: 신의 빛; 4,5,6성찰: 물질적 사물과 정신/육체의 차이3성찰은 나와 신의 접점이면서 신과 대상 세계의 접점
❦ 제1성찰 ⟪성찰⟫의 목적: “새로 시작”‘새로운 시작’의 단계들: 근심에서 벗어나기, 적막 속의 휴식 — 순수한 통찰, 즉 관상의 조건을 확보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부정하고 세계관을 총체적으로 재정립자신이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을 철저하게 부정함으로써 “난국의 암흑”으로 들어섬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9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2강, 제23강
❦ 근대성의 요소들수학과 자연과학의 발전인간의 이성을 음미하고 평가형이상학에 대한 경멸사유하는 자기(또는 자기의식)의 등장
❦ 진리의 원천과 진리인식의 원천데카르트는 “사유의 존재”(res cogitans)를 철학의 제1원리로서 받아들였다. 이것이 진리인식의 원천진리의 원천인 신에 대한 철학적 탐구“신이 부여한 인식 능력(cognoscendi facultatem, cognoscendi facultas)”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8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1강
❧ 운동(변화) 가능태에서 현실태로 옮겨가는 것현실태(energeia), 완전한 현실태(entelecheia)자기 안에서 다른 것으로 변화하는 것가능태와 현실태는 연속선상에 있으므로 경계선을 찾아낼 수 없다.
❧ 운동의 원인들질료와 형상, 작용과 목적질료는 형상을 성취하기 위해 움직인다. 그러므로 형상은 질료의 목적이다.목적인 형상은 질료에게 작용한다.가능태는 현실태를 향해 가며, 이어지는 현실태는 다시 가능태가 되어 현실태를 향해 간다.
❧ 영원한 첫째 원동자모든 존재하는 것은 영원한 첫째 운동자, 즉 신을 향해 움직여간다.영원한 첫째 원동자는 모든 존재하는 것에게 “사랑받음으로써”(hōs erōmenon)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