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7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20강
❧ 명제 형식들S에 P가 우연히 속해있다. S에 P가 본질적으로(자체로서) 속해있다.S에 P가 속해있다는 것은 참/거짓이다.S에 P가 가능적으로/현실적으로 속해있다.
❧ 실체(ousia)최종적 기체基體, 지시 가능한 감각적 개별자, 주어 역할만 하는 것: ‘이것’(tode ti)분리 가능한 에이도스eidos(형상) 또는 모르페morphē(모양): ‘무엇’(ti esti)
❧ ‘이것’과 ‘무엇’의 관계‘무엇’(ti esti): 본질, 사유, 정재가 속하는 종 또는 유, 대자존재⇡자기외화‘이것’(tode ti): 존재, 물질적 구체적 개별적 대상, 정재, 규정적 존재, 즉자존재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6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9강
❦ 이론학의 영역들세상의 모든 존재 일반: 보편적 존재론자연학: 운동(변화)에 관여하는 한에서의 존재신학: 있는 것 자체, 있는 것의 본질, 하나의 최고 원리수학: 수와 양의 측면에서 본 존재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5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8강(2)
❦ 종과 유의 관계‘침대는 가구다.’ 즉 ‘침대에는 가구임이 속한다.’는 명제 분석종은 각각의 개체이고 이 개체를 개체이게 하는 내재적 구성성분과 구성방식은 개체와 함께 변화하고 소멸한다.종은 그것의 상위에 있는 유에 속하며, 이를 탐구하는 것은 학문의 성립에서 필수적인 조건이다.유는 규정(horismos)으로써 설명을 하려는 설명원리(인식원리)이다. 이것은 보편적 술어에 불과할 수도 있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4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8강(1)
❦ 형상에 관한 이론들실재론: 형상(외부)실재론, 형상내재론유명론: 형상시원론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플라톤: ’사물 바깥에 실체인 형상이 따로 떨어져 있다.’아리스토텔레스: 형상이 사물들의 실체이려면 그것이 사물들과 분리되지 않고 사물 안에 있어야 한다.
❦ 플라톤 철학의 성립 근거“‘집’은 사람들이 그 안에서 살기 위해 지었다 허물어버릴 수 있는 단순한 건물들에 대한 지칭이어서, 그런 건물들에 대해 우리가 갖는 공통된 이해나 관념은 단순히 개념에 불과한 것인가? 만약이 이 물음에 대해 ‘그렇다’고 대답하는 것으로 끝내버리면, 플라톤 철학은 없다.”아리스토텔레스는 ‘그렇다’고 대답하는 셈이다. 개별적 사물을 사물일 수 있게 해주는 것은 형상인데, 그 형상이 어떻게 그 사물 밖에 따로 있겠느냐면서 플라톤에게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3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6강, 제17강
III 아리스토텔레스: 희랍 형이상학의 체계적 완결앎의 체계와 궁극적 실재|⟪형이상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같은 점과 다른 점둘의 차이에서 생겨나는 형이상학의 규정
❦ 제16강: ⟪형이상학⟫의 구성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분류(이론학, 실천학, 제작학)와 형이상학의 위치신학, 형이상학, 존재론
❦ 제17강: 앎의 종류와 단계들“모든 사람은 본성적으로 알고 싶어한다.”감각을 통한 앎, 기억, 경험, 기술, 학문적 인식논증적 지식인 학문적 앎과 직관적 앎인 누스nous의 결합에서 얻는 지혜(sophia)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2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5강
❧ 이론과 실천이론은 본질 존재인 상재相在(Sosein)를 지적으로 파악하는 것, 실천은 자신이 처해 있는 실제 상태인 정재定在(Dasein)를 변경하는 것.교육은 이론과 실천에 대한 욕구를 불러 일으키는 것
❧ 혼의 전환, 실재로 향한 등정“밤과도 같은 낮에서 진짜 낮으로 향하는 ‘혼의 전환’(psychēs periagōgē)이며,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철학(지혜의 사랑)이라고 우리가 말하게 될 실재(to on)로 향한 등정(오름: epanodos)일 것 같으이.”
❧ 본“그렇지만 그것은 아마도 그걸 보고 싶어하는 자를 위해서, 그리고 그것을 보고서 자신을 거기에 정착시키고 싶어하는 자를 위해서 하늘에 본(paradeigma)으로서 바쳐져 있다네.”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1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4강
❧ 동굴의 비유의 배경“교육(paideia) 및 교육 부족(apaideusia)과 관련된 우리의 성향”플라톤을 비롯한 당대 아테나이 사람들의 처지
❧ 동굴 안감각에 의해 알게 되는 사물, 그림자, 명칭과 같은 비진리들불빛 쪽으로 쳐다보도록 강요당할 경우에 생겨나는 일들동굴 안의 빛을 보면서도 눈이 부시고 그에따라 고통스럽다는 것
❧ 동굴 밖으로 올라가기험하고 가파른 길을 올라가기, 고난의 길, 자신에게 익숙한 것으로부터 벗어나기고통스러워하며 자신이 끌려온 것에 대해 짜증을 낸다.
❧ 동굴 밖동굴 안에서와 마찬가지로 동굴 밖에서도 익숙해짐(synētheia)이 필요하다.동굴 밖의 그림자, 모상, 하늘에 있는 것들과 하늘 자체오름(anabasis), 구경(thea), 혼의 등정(anodos), 행하다 또는 마음쓰다(prattein)동굴 안으로 다시 내려가기(katabasis)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10
Tuesday May 04, 2021
Tuesday May 04, 2021
⟪철학 고전 강의 - 사유하는 유한자 존재하는 무한자⟫, 제13강
❧ ‘좋음 자체’와 ‘좋음’의 소산은 차이가 있다. 여기서 논하는 것은 ‘좋음’의 소산이다.
❧ 태양 / 좋음의 관계태양이 빛이라는 힘(dynamis)을 주어서 사물이 눈에 잘 보이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좋음은 지성에 힘을 주어서 지성이 앎의 대상을 향하게 한다.태양의 경우에는 같은 대상을 향하지만 빛의 강도에 따라 보이는 정도가 다르지만, 지성에 의해서 알 수 있는 영역에서는 보는 장소가 다르다. 즉 좋은 인간이 어떤 방향을 향하게 하는가에 작용한다.